본문 바로가기
셀프 인테리어를 시작하려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인테리어 마감재, 바닥 마감재 선택하기 (2) 선택 가이드

by unknwon-p 2020. 3. 20.

  바닥 마감재 별 특징과 장단점 정리에 이어, 오늘은 마감재를 선택할 때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선택 가이드를 준비했습니다. 7종류의 마감재를 평당 시공가, 셀프 시공 난이도, 관리 난이도, 질감 및 표면, 바닥 난방 적합도, 변형 및 변질, 표면 내구도의 6 항목으로 정리해보았어요. 장점과 단점을 고려하여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라 평균적인 기준으로 정리한 자료라고 생각하고 참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소음의 경우에는 바닥재보다 시공 문제가 더욱 커서 비교하기 힘들기 때문에 포함시키지 않은 점을 양해해주세요. 층간 소음 방지로는 장판이 두께감&마찰음이 적어 추천되는 편이며 두께가 두꺼운 것으로 고르시면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바닥재로 마감하기 전에 소음 보조 재료를 깔고 시공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해요. 딱딱한 마루나 석재 타일의 경우에는 층간소음도 층간소음이지만, 의자 끄는 소리나 물건 떨어트렸을 때 소리 등 생활 소음이 크게 나기 때문에 소음에 민감하다면 시공 전에 꼭 고려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평당 시공가

[저가]  장판 - 강화 마루 / 합판 마루 / 강마루 - 자기질 타일 - 원목 마루 - 석재 타일  [고가] 

  인터넷 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단가를 고려하여 나열했습니다. 원목 마루를 제외한 마루 류가의 시공가는 최저가에 약간 차이가 있었으나, 최고가가 비슷하게 검색되었습니다. 제일 저렴한 마감재는 장판이며 대리석 등 석재 타일이 가장 높은 가격대의 시공비를 보였습니다.

 


셀프 시공 난이도

[쉬움]  장판 / 강화 마루 - 강마루 / 합판 마루 / 원목마루 - 자기질 타일 -석재 타일  [어려움] 

  셀프 인테리어를 시작하기 위한 정리글이니만큼 꼼꼼하게 찾아 본 결과 자르고, 끼우고, 펼치면 되는 장판과 강화 마루가 시공 난이도가 가장 낮다고 평가되고 있었습니다. 끼워 맞추는 강화 마루를 제외한 다른 마루들은 본드로 붙이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습니다. 타일 류의 바닥은 수평을 맞추고 줄눈 작업도 해야하는 등, 시공 방식이 복잡하여 셀프로 시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패턴 및 표면

[목재 패턴]  장판 / 강화 마루 / 합판 마루 / 강마루 / 원목 마루 
[석재 패턴]  장판 / 자기질 타일 / 석재 타일

  바닥재의 질감은 대체로 목재와 석재 패턴 중에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판의 경우에는 목재와 석재 뿐 아니라 독특한 패턴의 제품을 구할 수 있어요. 마루 류는 목재의 무늬와 질감을 최대한 살린 제품이 많으며, 표면에 무늬목을 얼마나 입혔느냐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고 해요. 자기질 타일은 포세린이냐 폴리싱이냐에 따라 패턴과 표면이 조금씩 달라지니 고르실 때 어떤 느낌을 더욱 선호하는지에 따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바닥 난방 적합도

[적합]  장판 / 합판 마루 / 강마루 / 자기질 타일 / 석재 타일 
[부적합]  강화 마루 / 원목 마루 

  한국인이라면 추운 겨울을 나게 해주는 보일러, 바닥 난방을 고려한 바닥재 선정이 빠질 수 없습니다. 습기와 수분에 약한 강화 마루와 원목 마루를 제외한 나머지 바닥재들은 무난하게 바닥 난방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본드로 접착하여 시공하는 합판 마루와 강마루의 경우에는 열기가 올라왔을 때 본드가 베어나오거나 이음새가 뒤틀리는 경우가 있다고 하니 선택 시 고려해주세요.

 


변형 및 변질(수분/오염)

[강함]  장판 / 강마루 / 자기질 타일 
[약함]  강화 마루 / 합판 마루 / 원목 마루 / 석재 타일 

  외부 요인과 오염에 의해 바닥재의 질감이나 색감, 형태가 변형되는지 아닌지에 대한 항목이라고 봐주시면 됩니다. 앞서 언급했다시피 강화 마루와 원목 마루는 습기와 열기에 취약합니다. 합판 마루는 수분과 직사광선등으로 색이 바래거나 물이 드는 등의 변색 위험이 있다고 하며, 석재 타일 중 대리석 또한 다른 제품에서 배어나오거나 오염 물질이 묻으면 물이 들기도 하니 관리에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표면 내구도

[강함]  강화 마루 / 강마루 / 자기질 타일 / 석재 타일 
[약함]   장판 / 합판 마루 / 원목 마루 

  마냥 장점만 있는 것 같아 보이는 장판이지만 표면 내구도가 다른 마감재에 비해 유독 약합니다. 찍힘과 찢김은 물론, 무거운 물건이 오래 올라가있으면 눌려서 자국이 남습니다. 표면에 나무를 씌워 만드는 합판 마루와 목재로 만든 원목 마루도 긁힘과 눌림에 취약한 편입니다. 장기간 사용을 고려하고 계시다면 단단한 재질에 코팅까지 더하는 강화 마루나 강마루, 타일류의 제품군을 시도해보시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되어 줄 것입니다.


  고려하고 계신 항목에 원하는 바닥재의 조건이 있었나요? 선택에 최대한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나 평균적인 결과물이니만큼 마음을 정하신 뒤에는 해당 바닥재의 장단점과 특징을 더욱 깊게 찾아보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모쪼록 예쁜 나의 집, 환하고 깔끔한 바닥을 만드는데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기를 바라요. 오늘도 찾아와주시고 글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